폐렴구균은 폐렴, 수막염, 균혈증, 중이염, 폐농양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입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폐렴구균 감염에 취약합니다. 또한 폐렴은 국내 사망 원인 중 3위이며 65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매우 치명적입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이번시간에는 폐렴구균 예방접종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효과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구균 감염을 예방하고 폐렴구균 감염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에 의한 사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만성질환이 있거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 65세 이상 어르신은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꼭 받아야 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지원대상, 기간
○ 지원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 (1959.12.31 이전 출생자)
○ 지원기간 : 연중
○ 지원내용 :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1회 접종 지원
○ 접종기관 : 보건소(지소 및 진료소 포함) 및 지정의료기관
- 지정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는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아래에서 지정의료기관을 확인해 보세요.
폐렴구균 예방접종 부작용 및 전·후 주의사항
○ 부작용
폐렴구균 백신은 대부분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접종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입니다.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심각한 부작용은 매우 드뭅니다.
- 접종 후 이상반응 시 신고기준
○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 건강 상태가 좋은 날 예방접종이 가능한지, 접종기관에 사전 확인 후 방문한다.
- 접종기관 방문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며, 코로나19 증상이 있을 경우 내원 전 알려준다.
- 예방접종 전 반드시 의사의 예진을 받는다.
- 기저질환이 있는 어르신은 백신 선택(다당 백신 또는 단백결합 백신) 및 접종시기 등에 대해 의사와 상담한다.
-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한 후 귀가한다.
- 접종 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한다.
- 접종 당일은 반나절 이상 충분히 쉬고, 음주나 지나친 운동은 피한다.
- 접종 후 2~3일간은 고열 등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구균 감염을 예방하고, 심각한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건강 상태가 좋은 날 가까운 보건소나 지정 의료기관에 접종 가능 여부 문의한 후 방문하여 접종을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